릭터 규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릭터 규모는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파의 진폭에 로그 함수를 적용하여 계산한다. 1935년 찰스 릭터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지진의 에너지 방출량을 정량적으로 나타낸다. 릭터 규모는 로그 척도를 기반으로 하여 규모가 1 증가할 때마다 진폭은 10배, 에너지는 약 32배 증가한다. 릭터 규모는 캘리포니아 남부 지역의 특정 지진계에 맞춰 개발되었으며, 강한 지진에서는 포화되는 문제로 인해 1970년대 이후 모멘트 규모로 대체되었다. 릭터 규모는 지진의 진폭과 진앙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하며, 릴리, 라흐르, 비스트리처니, 쓰무라, 쓰보이 등 여러 경험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5년 과학 - 1935년 1월 5일 일식
1935년 1월 5일 일식은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 현상이었지만, 관측 가능한 지역이 제한적이었고 당시 대한민국은 일제강점기 치하에 있어 과학적 관측이나 기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을 것으로 보인다. - 1935년 과학 - 1935년 6월 30일 일식
1935년 6월 30일 일식은 부분 일식으로, UTC 기준 18시 34분 28.3초에 시작하여 21시 25분 19.1초에 종료되었고, 1935년 6월과 7월에 걸쳐 2주 간격으로 발생한 일식 계절의 일부이며 태양 사로스 116 주기에 속한다. - 1935년 도입 - 소비에트 연방원수
소비에트 연방원수는 1935년 제정된 소련의 최고 군사 계급으로, 2차 세계 대전 공헌자에게 수여되었으나 정치적 이유로 수여되거나 숙청 대상이 되기도 했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연방 원수 계급으로 계승되었다. - 1935년 도입 - 킷캣
킷캣은 1935년 영국 라운트리스社에서 '라운트리스 초콜릿 크리스프'로 출시되어 1937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된 초콜릿 바이며, "Have a Break, Have a Kit Kat" 슬로건과 다양한 맛으로 전 세계적 브랜드가 되었고, 1988년 네슬레에 인수, 미국 시장은 허쉬社가 담당하며, 일본에서는 수험생에게 인기가 높다. - 지진 등급 - 모멘트 규모
모멘트 규모(Mw)는 지진 모멘트(M0)를 이용하여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리히터 규모 등의 한계를 극복하여 규모 4 이상의 지진에 대해 정확한 규모를 측정할 수 있으며, 현재 중대형 지진의 규모 측정에 표준적으로 사용된다. - 지진 등급 - 지진 규모
지진 규모는 지진이 방출하는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절대적 척도로, 지진계 기록을 통해 결정되며, 규모 1 증가 시 에너지는 약 32배 증가하고 지진 발생 빈도는 약 10배 감소한다.
릭터 규모 |
---|
2. 역사
릭터 규모 이전에는 지진의 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방법이 없었다. 1883년 존 밀른은 큰 지진이 전 세계적인 파동을 일으킬 수 있다고 추정했고, 1899년 E. 폰 레부어 파슈피츠는 독일에서 도쿄 지진의 지진파를 관측했다.[76] 1920년대 해리 O. 우드와 존 어거스트 앤더슨은 우드-앤더슨 지진계를 발명했다.[77] 이후 찰스 릭터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지진파를 측정하고 지진의 진원을 찾는 연구를 했다.[79]
2. 1. 개발
1931년 와다치 기요는 일본의 강진을 분석하여 진앙 거리와 진폭의 관계를 발표했다.[80] 찰스 릭터는 와다치의 방법을 발전시켜 릭터 규모를 고안했다. 릭터는 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넓은 범위의 지진 규모를 표현했는데, 여기서 각 단계는 규모 숫자가 1이 올라가면 그 크기가 10배 증가하는 식으로 개발하였다.[83] 규모 0은 인간이 감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지진으로 정의되었다.[84] 릭터는 우드-앤더슨 비틀림 지진계를 표준 지진계로 설정하였다. 200km 미만의 거리에서 지진파 감쇠는 지역 지질 구조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밝혔다.[86][87] 1935년 릭터는 "규모" 척도를 발표했다.[89] 페리 바이얼리가 "릭터 규모"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90] 1956년 베노 구텐베르크와 릭터는 표면파 규모(MS) 및 실체파 규모(MB)와 구분하기 위해 "국지 규모"(ML)라는 용어를 사용했다.[91]3. 정의
릭터 규모(ML)는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파의 진폭에 로그 함수를 적용하여 계산하는 방식이다.[101] 릭터 규모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A는 우드-앤더슨 지진계의 최대 진폭을 나타내며, A0는 관측소와 진원 거리인 에만 의존하는 값이다. 다양한 지진계와 거리 변화를 보정하기 위해 여러 보정치가 추가되며, 일반적으로 모든 관측소의 측정값을 평균하여 릭터 규모를 계산한다.[101]
4. 특성
릭터 규모는 로그 척도를 기반으로 하며, 규모가 1 증가할 때마다 측정된 진폭은 10배, 방출되는 에너지는 약 32배 증가한다.[100] 규모 4.5 이상의 지진은 전 세계 어디에서나 지진계로 관측할 수 있다.[102][103][104]
릭터 규모는 원래 남부 캘리포니아의 특정 상황과 지진계를 위해 정의되었다.[92] 이 때문에 강한 지진에서는 포화 현상이 발생하여 정확한 규모 측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93] 1970년대 이후 모멘트 규모(Mw)로 대체되었으나,[94] 언론에서는 여전히 "릭터 규모"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70]
지진의 영향(진도)은 규모 외에도 진앙 거리, 진원 깊이, 지질 조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95] 예를 들어, 간척지나 퇴적분지와 같이 지반이 약한 곳에서는 지진파가 증폭되거나 공명하여 더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96] 1989년 로마프리타 지진 당시 샌프란시스코 마리나구에서 큰 피해가 발생한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96]
대한민국에서는 국지 규모(ML)가 지역 지진 관측에 주로 사용되며, 전 세계적인 큰 규모의 지진에는 모멘트 규모(Mw)나 표면파 규모(Ms)가 사용된다.
규모 | 설명 | 통상적인 최대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107] | 지진의 영향 | 전지구적인 평균 발생 빈도 (추정) |
---|---|---|---|---|
1.0–1.9 | 미소지진 | I | 미소지진으로 거의 느껴지지 않거나 극히 드물게 느낄 수 있다. 지진계로만 확실하게 기록할 수 있다.[108] | 지속적/연간 수백만 회 이상 |
2.0–2.9 | 소지진 | I | 일부 사람들이 느낄 수 있다. 건물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 | 연간 1백만 회 이상 |
3.0–3.9 | II - III | 사람들이 대부분 지진을 느끼지만 피해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실내에 있는 물체가 흔들리는 것이 눈에 보일 수 있다. | 연간 약 십만 회 | |
4.0–4.9 | 경지진 | IV - V | 실내에 있는 물체가 눈에 띄게 흔들리며 덜컹거리는 소음을 낸다. 지진의 영향을 받는 지역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진을 느낀다. 밖에서는 지진이 살짝 느껴진다. 지진 피해는 거의 없거나 매우 최소한만 일어난다. 눈에 띄는 피해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선반 위의 물건이 떨어지거나 쓰러질 수 있다. | 연간 10,000-15,000회 |
5.0–5.9 | 중지진 | VI - VII | 부실하게 시공된 건물에 여러 종류의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제대로 설계된 건물에서는 피해가 없거나 약간의 피해만 발생한다. 모두가 지진을 느낀다. | 연간 1,000-1,500회 |
6.0–6.9 | 강지진 | VII - IX | 인구 밀집 지역에서 잘 설계된 구조물이 어느 정도의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내진설계가 되어 있는 건물은 약간의 손상을 입는다. 부실하게 설계된 건물은 심각한 손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진앙에서 수백 km 떨어진 먼 지역에서도 광범위하게 지진을 느낄 수 있다. 진앙지에서는 강한 흔들림에서 매우 격렬한 흔들림을 느낄 수 있다. | 연간 100-150회 |
7.0–7.9 | 거대지진 | VIII 이상 | 대부분의 건물에 손상을 입히며, 일부는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붕괴되거나 심각한 구조적인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잘 설계된 건축물도 큰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진앙에서 대략 250 km 떨어진 먼 거리에서도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며 광범위한 지역에서 지진을 느낄 수 있다. | 연간 10-20회 |
8.0–8.9 | 초거대지진 | 건물이 파괴될 정도로 큰 구조적인 피해를 입는다. 견고하거나 내진설계가 되어 있는 건물도 큰 손상을 입을 수 있다. 광범위한 지역에서 지진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 | 연간 1번 정도 | |
9.0 이상 | 특정 지역이 거의 완전하게 파괴되며, 모든 건물이 붕괴되거나 큰 피해를 입는다. 매우 먼 지역에서도 큰 피해를 입고 흔들림이 느껴진다. 지상의 지형이 영구적으로 변형된다. | 10년에서 50년에 1번 정도 |
5. 릭터 규모에 따른 영향
아래 표는 진원지 인근에서 발생한 다양한 규모의 지진이 끼치는 영향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이다. 실제 피해 정도는 진도, 진앙과의 거리, 진원 깊이, 지질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105][106]
규모 | 설명 | 통상적인 최대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107] | 지진의 영향 | 전지구적인 평균 발생 빈도 (추정) |
---|---|---|---|---|
1.0–1.9 | 미소지진 | I | 미소지진으로 거의 느껴지지 않거나 극히 드물게 느낄 수 있다. 지진계로만 확실하게 기록할 수 있다.[108] | 지속적/연간 수백만 회 이상 |
2.0–2.9 | 소지진 | I | 일부 사람들이 느낄 수 있다. 건물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 | 연간 1백만 회 이상 |
3.0–3.9 | II - III | 사람들이 대부분 지진을 느끼지만 피해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실내에 있는 물체가 흔들리는 것이 눈에 보일 수 있다. | 연간 약 십만 회 | |
4.0–4.9 | 경지진 | IV - V | 실내에 있는 물체가 눈에 띄게 흔들리며 덜컹거리는 소음을 낸다. 지진의 영향을 받는 지역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진을 느낀다. 밖에서는 지진이 살짝 느껴진다. 지진 피해는 거의 없거나 매우 최소한만 일어난다. 눈에 띄는 피해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선반 위의 물건이 떨어지거나 쓰러질 수 있다. | 연간 10,000-15,000회 |
5.0–5.9 | 중지진 | VI - VII | 부실하게 시공된 건물에 여러 종류의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제대로 설계된 건물에서는 피해가 없거나 약간의 피해만 발생한다. 모두가 지진을 느낀다. | 연간 1,000-1,500회 |
6.0–6.9 | 강지진 | VII - IX | 인구 밀집 지역에서 잘 설계된 구조물이 어느 정도의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내진설계가 되어 있는 건물은 약간의 손상을 입는다. 부실하게 설계된 건물은 심각한 손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진앙에서 수백 km 떨어진 먼 지역에서도 광범위하게 지진을 느낄 수 있다. 진앙지에서는 강한 흔들림에서 매우 격렬한 흔들림을 느낄 수 있다. | 연간 100-150회 |
7.0–7.9 | 거대지진 | VIII 이상 | 대부분의 건물에 손상을 입히며, 일부는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붕괴되거나 심각한 구조적인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잘 설계된 건축물도 큰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진앙에서 대략 250 km 떨어진 먼 거리에서도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며 광범위한 지역에서 지진을 느낄 수 있다. | 연간 10-20회 |
8.0–8.9 | 초거대지진 | 건물이 파괴될 정도로 큰 구조적인 피해를 입는다. 견고하거나 내진설계가 되어 있는 건물도 큰 손상을 입을 수 있다. 광범위한 지역에서 지진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 | 연간 1번 정도 | |
9.0 이상 | 특정 지역이 거의 완전하게 파괴되며, 모든 건물이 붕괴되거나 큰 피해를 입는다. 매우 먼 지역에서도 큰 피해를 입고 흔들림이 느껴진다. 지상의 지형이 영구적으로 변형된다. | 10년에서 50년에 1번 정도 |
6. 규모 계산 경험식
릭터 규모는 릭터가 처음 제시했던 표준 지진(, , )을 기준으로, 지진계에 기록된 신호의 진폭()과 진앙과 지진계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이 공식은 다른 지역에서도 비슷한 값이 나오도록 여러 학자들에 의해 보정되었다.
릭터 규모 계산에는 다음과 같은 경험식들이 사용된다.[113][114]
- 릴리의 경험식
- 라흐르(1980년)의 경험식
- 비스트리처니(1958년)의 경험식
- 쓰무라의 경험식
- 도쿄 대학의 쓰보이 교수가 제시한 경험식
6. 1. 릴리의 경험식
릭터 규모 공식은 타 지역에서도 비슷한 값이 나오도록 보정한 식이다. 아래의 식에서 는 진앙 중심과 지진계와의 거리이다.- 릴리의 경험식은 아래와 같다.
:
여기서 는 0.8 Hz의 P파 지진파의 마이크로미터 단위 진폭이다.
- 거리 가 200 km 이하인 경우
:
- 거리가 200 km에서 600 km 사이인 경우
:
여기서 는 지진계의 신호 진폭(mm)이며, 는 km 단위의 진앙과 지진계와의 거리이다.
:
여기서 는 표면파의 지속 시간 (초)이며, 는 각도이다. 이 공식으로 측정할 경우 "국지 규모" ML은 거의 대부분 M5에서 M8 사이로 계산된다.
:
여기서 는 총 진동 지속 시간(초)이다. 이 공식으로 측정할 경우 국지 규모 ML은은 주로 M3에서 M5 사이로 계산된다.
- 도쿄 대학의 쓰보이 교수가 제시한 경험식은 아래와 같다.
:
여기서 는 지진계의 마이크로미터 단위 최대 진폭이다.
6. 2. 라흐르(1980)의 경험식
라흐르(1980년)가 제시한 릭터 규모() 계산식은 진앙과 지진계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113]- 거리 가 200km 이하인 경우:
:
- 거리가 200km에서 600km 사이인 경우:
:
위 식에서 는 지진계에 기록된 신호의 진폭(mm)이며, 는 진앙과 지진계 사이의 거리(km)이다.
6. 3. 비스트리처니(1958)의 경험식
비스트리처니(1958년)는 진원 중심 거리가 4˚에서 160˚ 사이인 경우, 릭터 규모를 계산하는 경험식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114]:
여기서 는 표면파의 지속 시간(초)이며, 는 대원 각도로 나타낸 거리이다. 이 공식으로 측정할 경우 국지 규모 ML은 주로 M5에서 M8 사이로 계산된다.
6. 4. 쓰무라의 경험식
쓰무라의 경험식은 다음과 같다.[114]:
여기서 는 총 진동 지속 시간(초)이다. 이 공식으로 측정할 경우 국지 규모 ML은 주로 M3에서 M5 사이로 계산된다.
6. 5. 쓰보이(도쿄 대학)의 경험식
坪井 忠二|쓰보이 주지일본어가 제시한 릭터 규모() 경험식은 다음과 같다.[114]:
여기서 는 지진계의 마이크로미터(μm) 단위 최대 진폭이고, 는 진앙 중심과 지진계와의 거리이다.
참조
[1]
논문
[2]
서적
Annals of the Former World
Farrar, Straus and Giroux
1998
[3]
논문
[4]
논문
[5]
웹사이트
Discovery Project 17: Orders of Magnitude
https://www.stewartm[...]
2022-02-24
[6]
서적
The San Andreas Fault System, California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8-09-14
[7]
간행물
Discovery of the Earth's core
http://aapt.scitatio[...]
1980-09
[8]
서적
A dictionary of earth sciences.
2008
[9]
간행물
S-wave shadows in the Krafla Caldera in NE-Iceland, evidence for a magma chamber in the crust
http://dx.doi.org/10[...]
1978-09
[10]
웹사이트
What is the Richter Magnitude Scale?
https://web.archive.[...]
GNS Science
2021-08-03
[11]
웹사이트
Magnitude / Intensity Comparison
https://web.archive.[...]
[12]
문서
[13]
간행물
Global frequency of magnitude 9 earthquakes
2008
[14]
웹사이트
Earthquake Facts and Statistics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3-12-18
[15]
웹사이트
How Often Do Earthquakes Occur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Largest Earthquakes in the World Since 1900
https://web.archive.[...]
2013-12-18
[17]
서적
The signal and the noise : the art and science of prediction
Penguin
2013
[18]
웹사이트
Magnitude 10 temblor could happen: study
https://www.japantim[...]
2020-09-15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문서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웹사이트
Explanation of Bulletin Listings, USGS
https://earthquake.u[...]
[35]
논문
[36]
서적
Elementary Seismology
W. H. Freeman and Co.
[37]
논문
Moment magnitude scale
[38]
웹사이트
On Earthquake Magnitudes
http://www.weather.g[...]
Hong Kong Observatory
2012-09
[39]
웹사이트
Richter scale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0-03-31
[40]
간행물
Rapid determination of the energy magnitude Me
[41]
간행물
Rapid source inversion of W phase for tsunami warning
[42]
논문
The Energy Release in Earthquakes
[43]
논문
Measuring the Size of an Earthquake
https://earthquake.u[...]
[44]
보고서
HYPOELLIPSE: A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local earthquake hypocentral parameters, magnitude, and first-motion pattern
[45]
논문
Local and regional earthquake magnitude calibration of Tabuk analog sub-network, Northwest of Saudi Arabia
2012-07
[46]
논문
Local and regional earthquake magnitude calibration of Tabuk analog sub-network, Northwest of Saudi Arabia
2012-07
[47]
문서
ローカル・マグニチュードの頭文字「L」を略称標記に使う。
[48]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f Earthquake and Engineering Seismology
https://earthquake.u[...]
Academic Press
2002
[49]
문서
なお、リヒターは'''リクター'''とも[[発音]]される(「[[チャールズ・リヒター]]」を参照)。
[50]
Harvnb
[51]
Harvnb
[52]
Harvnb
[53]
Harvnb
[54]
Harvnb
[55]
Harvnb
[56]
Harvnb
[57]
Harvnb
[58]
Harvnb
[59]
Harvnb
[60]
Harvnb
[61]
Harvnb
[62]
Harvnb
[63]
Harvnb
[64]
논문
The Richter Scale , from ''The San Andreas Fault System,'' California (Professional Paper 1515)
http://www.johnmarti[...]
USGS
2008-09-14
[65]
웹사이트
Explanation of Bulletin Listings, USGS
https://earthquake.u[...]
アメリカ地質調査所
2016-06-11
[66]
논문
Local and regional earthquake magnitude calibration of Tabuk analog sub-network, Northwest of Saudi Arabia
2012-07
[67]
Harvnb
[68]
서적
Annals of the Former World
https://archive.org/[...]
Farrar, Straus and Giroux
1998
[69]
Harvnb
[70]
문서
The "USGS Earthquake Magnitude Policy" for reporting earthquake magnitudes to the public as formulated by the ''USGS Earthquake Magnitude Working Group'' was implemented January 18, 2002, and posted at https://earthquake.usgs.gov/aboutus/docs/020204mag_policy.php. It has since been removed; a copy is archived at the [https://web.archive.org/web/20160428095841/http://earthquake.usgs.gov:80/aboutus/docs/020204mag_policy.php Wayback Machine], and the essential part can be found [http://dapgeol.tripod.com/usgsearthquakemagnitudepolicy.htm here].
[71]
논문
[72]
논문
[73]
웹인용
Discovery Project 17: Orders of Magnitude
https://www.stewartm[...]
2022-02-24
[74]
논문
[75]
논문
[76]
논문
[77]
논문
[78]
논문
[79]
논문
[80]
논문
[81]
논문
[82]
논문
[83]
문서
pending
[84]
논문
[85]
논문
[86]
논문
[87]
논문
[88]
논문
[89]
논문
An Instrumental Earthquake Magnitude Scale
[90]
논문
[91]
논문
[92]
웹인용
Explanation of Bulletin Listings, USGS
https://earthquake.u[...]
[93]
논문
[94]
논문
[95]
논문
[96]
논문
[97]
논문
[98]
웹인용
On Earthquake Magnitudes
http://www.weather.g[...]
Hong Kong Observatory
2012-09
[99]
웹인용
Richter scale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0-03-31
[100]
웹인용
USGS: The Richter Magnitude Scale
http://earthquake.us[...]
2010-07-05
[101]
서적
The San Andreas Fault System, California
USGS
2008-09-14
[102]
저널
Discovery of the Earth's core
http://aapt.scitatio[...]
1980-09
[103]
서적
A dictionary of earth sciences.
https://archive.org/[...]
2008
[104]
저널
S-wave shadows in the Krafla Caldera in NE-Iceland, evidence for a magma chamber in the crust
http://dx.doi.org/10[...]
1978-09
[105]
웹인용
Earthquake Facts and Statistics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2-11-29
[106]
웹인용
What is the Richter Magnitude Scale?
https://www.gns.cri.[...]
GNS Science
2021-08-03
[107]
웹인용
Magnitude / Intensity Comparison
http://earthquake.us[...]
[108]
문서
[109]
웹인용
How Often Do Earthquakes Occur
http://www.mgs.md.go[...]
[110]
웹인용
Largest Earthquakes in the World Since 1900
https://earthquake.u[...]
2012-11-30
[111]
서적
The signal and the noise : the art and science of prediction
Penguin
2013
[112]
웹인용
Magnitude 10 temblor could happen: study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12-12-15
[113]
저널
HYPOELLIPSE: A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Local Earthquake Hypocentral Parameters, Magnitude, and First-Motion Pattern
1980
[114]
저널
Local and regional earthquake magnitude calibration of Tabuk analog sub-network, Northwest of Saudi Arabia
20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